저작권법 개정안(교문위 대안)의 문제점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가 여러 법률을 묶어 위원회 대안으로 2017년 12월 통과시켜 법사위로 넘긴 법안은 여러 문제가 있다(대안은 국회 의안시스템에는 올라가 있지 않은데 그 문제에 대해서는 이 글을 참조하시고, 교문위 대안은 이 문서를 참조하시길). 1. 국회 상임위의 실질적인 논의를 거치지 않은 교문위 대안 교문위 대안은 4개의 저작권법 개정안(① 2017년 1월 4일 정부가 제출한 개정안, ② 2017년 2월 …

입법 과정의 문제점-위원회 대안

국회 입법 절차에서 깜깜이로 진행되는 것이 위원장 대안이다. 20대 국회에서 위원장 대안으로 통과된 법률안이 899건이니 상당히 많은 법안이 이렇게 처리된다(2019년 2월 기준). 그런데 위원장 대안은 본회의를 통과할 때까지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올라오지 않는다. 내용이 뭔지,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는 커녕 내부자가 아니면 대안으로 논의되고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없다. 당연히 입법예고 절차는 적용되지 않는다. 위원장 대안은 보통 …

한미 FTA 개정협상 평가(1)

평가(1): 국회 비준 절차 한미 FTA 개정협정이 2019년 1월 1일 발효되었으나, 절차적 문제도 있고 내용에도 문제가 많다. 몇 회에 걸쳐 문제점을 살펴본다.  1. 서명본은 어디에? 그동안 정부는 FTA 비준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할 때 서명본을 제출하지 않았다. 이번에도 마찬가지였는데, 외교부는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한다. 서명본은 서명할 때 압날하기때문에 훼손될 수 있어서 별도 사본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서명본을 …

3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NAP) 수립에 관한 의견: 인권과 지재권

지식연구소 공방은 법무부가 주관해 수립하는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NAP)에 지재권을 인권 측면에서 재구성할 것을 촉구하는 의견서를 작성해 다른 사회단체들의 연명을 받아 법무부에 제출하고 국가인권위원회에도 보냈습니다. 법무부에 제출한 의견서 PDF 파일 하지만, 법무부는 이 의견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고, 국가인권위원회조차 지재권과 인권의 관련성에 대해 이해를 하지 못하고 아무런 반응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제3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에는 오히려 국제인권법에 반하는, 인권을 침해하는 …

국제인권기준 조롱하는 한국의 ‘인권정책기본계획’

지난달 20일 법무부가 발표한 제3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아래 NAP) 초안에는 인권과 거리가 먼 것들이 많다. 정부 부처들이 그동안 인권과 무관하게 해 오던 업무들을 짜깁기해 인권정책기본계획이란 이름으로 포장만 바꿔 놓았기 때문이다. 인권에 대한 기본개념도 없이 그럴싸하게 포장만 하려 하다 보니 인권에 반하는 내용까지 들어 있다. 문화·예술 및 과학의 진보를 누릴 권리에 대한 과제 중 하나로 제시된 “불법복제 단속 및 …

인권과 통상정책 및 FTA

제3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NAP) 수립에 관한 의견 지식연구소 공방은 아래 의견서를 작성하여 다른 시민사회단체들의 연명을 받아 2018. 4. 4. 법무부에 제출하고 국가인권위원회에도 보냈습니다. 안타갑게도 이 의견은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에 전혀 반영되지 않았고, 국가인권위원회도 아무런 반응도 없었습니다.   1. 제2차 NAP 및 국가인권위원회 제3차 NAP 권고에 대한 평가   그 동안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은 인권 목록에 열거된 권리들을 세분하여 개별 권리에 대한 …

통상협정의 문제점과 통상민주화 방안

2017년 10월 24일부터 28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역내경제동반자협정(RCEP: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제20차 공식협상이 열렸습니다. 이를 계기로 국내에 들어온 외국 활동가들을 초청하여 국회에서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여기서 통상민주화를 중심으로 발표한 글입니다. * 토론회 자료집: 통상협상의 주요 쟁점 – 한미 FTA 개정 협상 및 RCEP을 중심으로 Trade democracy and fta from Heeseob Nam

공익 팽개친 특허청, 괴물로 변하고 있다

우리 사회에 특허청이라는 행정기관은 왜 존재할까? 정부조직법과 특허법에 그 답이 있다. 정부조직법에 의하면 특허청은 특허에 관한 사무와 심사·심판 사무를 관장하기 위한 기관이다. 이들 사무의 실체법적 규정은 모두 특허법에 있다. 특허법의 규정에 따르면 특허청은 특허권을 취득할 자격이 되는지를 가리는 사무 즉, ‘특허 심사’가 핵심 업무다. 너무 당연해 보이는 이 얘기를 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특허 심사의 성격과 …